본문 바로가기
정보창고

심폐소생술이란?

by 시골청년정보은행장 2024. 4. 23.
반응형

심폐소생술이란?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추게 되었을 때 인공호흡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뇌의 손상 또는 사망을 지연시키고자 현장에서 신속하게 실시하는 기술입니다.

출처 : 119안전신고센터 홈페이지

 



 성인 심폐소생술

 

1. 심정지 확인 및 119신고(자동제세동기 요청)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여쭤보세요.
주변 사람에게 큰소리로 119에 전화해 달라고 부탁하고 자동제세동기 요청,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직접 119에 신고합시다.

 

2. 압박위치

 

손꿈치 중앙을 양쪽 젖꼭지 사이의 흉부의 정중앙에 놓고 손가락이 늑골이 닿치 않도록 합시다.
다른손으로 나머지 손을 덮어주세요.

 

3. 압박방법

 

팔을 쭉 펴고 수직으로 분당 최소 100회 속도 및 최소 5cm 깊이로 환자 가슴을 눌러 준 다음 힘을 뺍니다.

 

4. 가슴압박 30회 시행

 

분당 최소 100회의 속도로 30회 흉부를 압박 합시다.
흉부압박 때 환자 가슴에서 양손을 떼지 맙시다.
※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시행하며,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함.
다른손으로 나머지 손을 덮어주세요.

 

5. 기도유지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위로 들어 올려 기도를 열어 주세요.

 

6. 인공호흡 2회 시행

 

환자의 코를 막고 입속으로 두 번 불어주세요.
이때, 환자 가슴이 올라와야 기도로 호흡이 들어간 것입니다.
※ 구조자가 인공호흡을 모르거나 능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 (가슴압박 소생술)

 

7. 가슴압박과 인홍호흡의 반복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도착할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세요.
구조자가 두사람인 경우에는 30:2로 1인은 흉부압박을 하고 다른 1인은 인공호흡을 합니다. 5주기마다(매 2분마다) 교대하여 실시합니다.

 

 


 영유아 심폐소생술

 

1. 기도열기 (입 안의 이물 제거)

 

입안의 이물질 여부를 확인하여, 이물질이 확실하게 보이면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쓸어냅니다.

 

2. 압박위치 (영아)

 

흉골 중앙 바로 아래의 두 손가락을 위치하여 눌러주세요.
※ 주의사항 : 명치를 누르지 않도록 합니다.

 

3. 압박위치 (유아)

 

연령에 따라 한손으로 압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 유아의 경우)

 

4. 흉부압박


흉곽의 최소 1/3깊이로 분당 최소 100회 속도로 30회 흉부를 압박합시다.
흉부압박 때 환자 가슴에서 양손을 떼지 맙시다.
※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함.


5. 기도유지


환자의 코를 막고 입속으로 두 번 불어주세요.
이때, 환자 가슴이 올라와야 기도로 호흡이 들어간 것입니다.
※ 구조자가 인공호흡을 모르거나 능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 (가슴압박 소생술)

 

6. 인공호흡 2회 시행


처치자의 입으로 영아의 코와 입을 동시에 막아서 인공호흡 2회 불어넣기를 실시하도록 합시다.

 

7.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 후 반복 시행


회복되었거나 119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 및 반복 시행토록 하세요.

 

[ 자료출처 : 119안전신고센터 홈페이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