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바르게 알기7

결핵이란? 결핵이란결핵은 결핵균이 우리 몸에 들어와서 생기는 감염성 질환입니다.결핵은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며 주로 폐결핵을 유발시키지만 인체의 모든 조직, 장기에서 발병(폐외결핵)할 수 있습니다.결핵은 크게 잠복결핵(결핵균에 감염되었으나 증상·전염력이 없어 일상생활 가능한 상태)과 활동성결핵(증상·전염력이 있어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는 상태)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결핵의 전염과정 결핵환자의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퍼져나온 결핵균이 다른 사람의 몸 속으로 들어감으로써 감염 됩니다.감염되었다고 모두가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잠복결핵 감염자 중 약 5-10%가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게 됩니다.(잠복결핵 양성자가 치료 받은 경우 결핵 발생률 약 83% 감소) 결핵의 증상기침, 객담(가래), .. 2024. 6. 26.
6.25전쟁에 대해 바로 알기 6.25전쟁은 1950년 6월25일  일요일 새벽 3시경에 북한군의 암호명 [폭풍 224]라는 계획에 따라 북위  38도선을 대한민국에 선전포고 없이 남침하여 발발한 전쟁입니다.1950년6월25일부터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 체결까지 3년 1개월간 이어진 전쟁이었습니다.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을 통해 한반도는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과 북한 두 국가가 대립하게 되었습다.6·25 전쟁의 평화협정(종전 및 강화 조약)은 아직 체결되지 않았으며, 남북통일이 아직도 안됐기 때문에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이지만, 현재 남북 양측의 국민들에게는 전쟁 중이라는 인식은 드물며 법적으로 볼 때 대법원의 판례는 지금이 '전시'인지 '평시'인지 명.. 2024. 6. 25.
소비기한 & 유통기한 바르게 알기 유통기한  & 소비기한 뭐가 다른걸까요?? 유통기한?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 및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 소비기한(use by date)?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먹어야할지 말아야할지 고민이었던 부분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식품 폐기물 감소를 통한 탄소중립을 위해 소비기한 표시제라는걸 시행 소비기한은 2023년 1월 1일부터 유통기한 대신 표시되었습니다. 단, 우유류는 2031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바뀌면 뭐가 좋아지는걸까?   소비기한 표시제도 시행 후 주의사항 1. 보관방법과 날짜 확인 습관 갖기 2. 식품별 보관방법 준수 3. 소비기한이 경과된 제품 섭취 금지 2024. 6. 18.
친구와 관련된 사자성어 管鮑之交(관포지교)옛날 중국의 관중과 포숙처럼 친구 사이가 다정함을 이르는 말, 매우 다정하고 허물없는 친구사이 유래 : 관중과 포숙. 이들은 친교가 깊어 관중은 ‘生我者父母 知我者鮑叔也(생아자부모 지아자포숙야 ; 나를 낳은 이는 부모이고 나를 아는 사람은 포숙이다.)’라 했음.伯牙絶絃 (백아절현)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함을 이르는 말  유래 : 백아에게는 자신의 음악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있었다. 종자기는 백아가 무엇을 표현하려는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고, 백아와는 거문고를 매개로 서로 마음이 통하는, 음악 세계가 일치하는 사이였다. 그런데 종자기가 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등지자 너무나도 슬픈.. 2024. 5. 19.
손바닥에 검은 점을 보면 도와주세요!!(Black Dot Campaign) 구조요청하는 신호입니다!! 자신의 손바닥에 검은 점을 그려서 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입니다. 지금 그분은 가정폭력에서 구조를 요청하는것입니다.  블랙닷 캠페인 (Black Dot Campaign)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캠페인은 가정폭력 근절을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여성뿐만 아니라 노인, 아이 등 약자들의 손바닥에 검은 점으로 위험한 자신의 상황을 알려주는 것으로 2015년 영국에서 시작한 캠페인이며 SNS와 각종 커뮤니티로 확산되어 시작한 지 일주일 만에 가정폭력피해자 49명을 구출하는 데 성공한 캠페인입니다. 우리나라도 2016년 한국노임복지중앙회에서 노인학대 방지 목적으로 캠페인에 동참하여 캠페인의 필요성을 알려준 바가 있습니다. 단, 이 캠페인의 단점은 가해자가 검은 점을 알아차려버리면 더 위험해질.. 2024. 5. 17.
SOS 바로 알아보기 익숙한 구조요청신호 입니다하지만 정확하게 알고 써야 빛이 나는 법이죠. 영화에서 많이 나옵니다. SOS 글로 써도 되고 모스부호로 SOS(  ...  ---  ...   / 따 따 따     따- 따- 따-    따 따 따)짧게 3번, 길게 3번, 짧게 3번을 반복합니다. 전세계 만국으로 통용되는 구조신호니 꼭 알아두면  위급상황시 사용합니다. 모스부호 SOS 의 유래 보통 많은 분들께서 아는것과는 달리, 모스 부호 상의 SOS는 약어가 아니지만, 'Save Our Souls(우리의 영혼을 구하라)' 혹은 'Save Our Ship(우리 선박을 구하라)'의 약어라는 설도 존재합니다. 처음 SOS 신호는 침몰하는 선박이나 조난 상황에 처해 도움이 필요한 보트에서 활용되는 해양 무선 구조 신호로 사용되었습니.. 2024. 5. 14.
728x90
반응형